지린성도서관

발표시간:2019-11-26내원:
【글꼴 크기: 인쇄
청 선통원년(1909)에 준공된 지린성도서관은 관사가 당시 지린성 소재지인 지린시에 있었다. 신 중국이 성립된 후 지린성 성도(省都)의 이전에 따라1954년 장춘으로 옮겨졌다. 신민따지에 1162호에 새  터를 잡고 1958년에 건설되어 시운영을 하다가 1960년에 정식 개관했다.  2008 9월 지린성 당위와  정부는 새 터에 관사를새로 짓기로 결정하고 2010 8월에 개공,  2013년 말에 준공되어 2014 9 28일부터 정식 시운영을 시작했다.

런민따지에 10055호에 자리잡은 지린성도서관 신관은 건축면적이 53713 제곱미터에 부지면적은 4.47만 제곱미터이며 지하 일층과 지상 5, 설계수명이100년인 건물이다. 장서규모가 500만 권에 이르고 열람 좌석이 3000, 네트워크 노드가 4000개이며 일당 독자 접대능력은 무려 6000명에 이른다.

지린성 도서관은 지린성의 문헌정보 소장과 서비스 중심이며 문헌자원 구입 목록의 편찬, 정보 네트워크 건설, 문헌자원 공유의 중심이며 도서관 간의 협력과 학술 연구교류의 중심이다. 당 정 지도기관의 결책을  담당하며 과학연구, 교육 및 기업 사업단위들에 정보 자문 봉사를 제공하고 주민들에 문헌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민에 종신 교육봉사를 제공하는 등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문헌 350여만 권에 대량의 디지털화  문헌정보 자원을 소장하고 있으며 학과 분류가 구전하고 중국어, 영어, 일본어, 러시아어로 된 문헌들도 있다. 그중 고적 선장본 43만 권, 당인(唐人)이 쓴 불경, 송원명 각본(刻本), 필사본 및 명가가 비교(批校)한 제발본등은 보기드문 진품이라고 할 수 있다. 민국의 도서와 간행물 12만 권, 위 만주국 자료 5만 권 등은 높은 사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지린성도서관 신관은 선진적 기술과 지능화 관리를 도입해 독자들에 편리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종합 보고실, 다기능 홀,디지털 영화 상영실, LED 대형 스크린, 4D영화관 등 서비스는 독자들에게 전시와 교류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지열원 열펌프,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신관은 에너지 절약, 환경 보호를 강화하게 되었다. 지능화 청사 관리정보 발표 시스템 등 기술을 이용해 신관의 관리와 서비스를 더 편리화, 인성화 했다.  RFID 기술의 응용으로 독자들의 셀프 렌탈이 편리해 지고문헌관리와 독자 서비스의 품질과 효율이 높아졌다.

지린성도서관 신관은 개관 후 학술로 세우고 서비스로 흥성하며 인재로 발전하고 협력으로 활성화 한다는 이념에 따라 독자을 위한 계열행사들을 활발하게 조직하고 독자들은 평등, 무료, 무장애로 도서관의 서비스를 누리고있다. ‘문화지린서비스 브랜드를 전력으로 조성하면서 문화지린강단, ‘문화지린 천하서향 독서회’, 다양한 전람전시 행사, 공공 문화교류 보급 플랫폼의 다양한 공연활동 등 매년 백여차의 행사들을 조직하고 있다. 지린성도서관 연맹, 농민공 자녀 열독기지, ‘지린윈투이동 열독, 지린성 량회정보 자문봉사 등 서비스도 지린성도서관의 브랜드 항목으로 되면서 일년 사시장철 관련 서비스 행사들을 200 여차 조직하고 있다. 외부서비스로는, 선후로 분관과 유통점 23개를 설립하고 백성서재 120 , 학생 책방 65, 지린성 직속기관 당공위와 연합으로 위성도서관 10 곳을 설립해 사회각계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다.

문화강성()을 건설하는 과정에 지린성도서관은 신관을 시민 학습의 중심지, 교류 중심지와 문화의 중심지로 조성하여 장춘시민들에 지식, 지혜와 긍정 에너지가 넘치는 정신의 고향을 선물하며, 전민열독을 이끌어내고 독서사회를 함께 건설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소:장춘시 런민따제 10055 
우편번호130028
서비스전화(+86 0431) 963009

감독전화:(+86 0431) 89270011
   (+86 0431) 89270012

이메일  bgs@jllib.com   
지투 위챗 구독호:지린성도서관
대중 교통66호선, 111호선, 112호서, 130호선, 161호선, 163호선, 208호선, 240호선;, 252호선, 270호선, 306호선, 312호선, 393호서, 지하철 1호선